git clone git주소 -> git file을 local로 다운로드
cd 폴더명 -> 다운받은 폴더로 들어가기
git branch -> 로컬에서의 branch 검색 (local branch list가 나옴)
ㄴ*로 표시된 곳이 현재 위치한 branch
git branch -r -> 원격 저장소 branch 검색 (원격 저장소에 있는 branch만 나옴)
git branch -a -> local + 원격 저장소 전체 branch 검색
ㄴ*로 표시된 곳이 현재 위치한 branch
git checkout -b branch명 -> 새 branch를 만들고 해당 branch로 이동 checkout (local branch 사이를 이동)
git checkout -t branch명 -> 원격 저장소 branch로도 이동 가능
git branch –d branch명 -> 해당 branch 삭제 (local)
git push origin -delete branch명 -> 원격 저장소의 branch 삭제
[git 파일 변경 적용] git push 순서
git status -> 수정 파일 확인(빨간색이 변경된 내용)
git add * -> 수정한 파일을 모두 staging 상태로 변경
Git add . -> 수정, 삭제 파일 모두 반영 (add .을 더 많이 쓴다)
git status -> 수정 파일 확인(초록색이 반영된 내용)
git commit -m "수정내용" -> 수정 내용을 포함하여 commit
git push origin branch명 -> 원격 저장소에 올리기
git fetch -> 원격 저장소의 변경된 내용을 받아옴 (로컬의 내용과 합치지 않고, 변경사항만 업데이트 받는다)
git merge branch명 -> 현재 branch에 입력한 branch의 코드를 합침
git pull -> 원격 저장소의 변경된 내용을 받아오고 local 코드와 합침 (git fetch + git merge 와 비슷한 역할)
'G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Git] Git log 사용법 (Push 이력 확인 및 옵션) (0) | 2023.01.03 |
---|